반응형

    [주식53] 봉차트란 무엇인가?


    봉차트란?

    그래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봉차트를 알아야 합니다. 봉차트 없는 그래프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그래프의 기본 요소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봉차트는 시가(시작가격), 고가(최고가격), 저가(최저가격), 종가(마감가격)가 그려지며 막대모양으로 나타냅니다. 봉차트 그리는 방법과 그 의미를 알아보고 투자 판단에 활용하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봉차트의 종류 1 ― 작성기간에 따른 분류

    봉차트는 작성기간에 따라 일봉차트, 주봉차트, 월봉차트로 나뉩니다. 일봉은 하루, 주봉은 1주일, 월봉은 1달 동안의 주가 흐름을 나타냅니다. 일봉차트는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이 하루 동안 치열한 힘겨루기를 한 결과를 일자별로 연결해서 만들어진 것이므로 단기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활용하고, 주봉과 월봉은 중장기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이용합니다.

     

    봉차트의 종류 2 ― 작성방법에 따른 분류

    미국식 도표와 일본식 도표로 나뉘는데, 미국식 도표는 저가 · 고가 · 종가만을 표시하고, 일본식 도표는 시가 · 고가 · 저가 · 종가를 그리되 주가가 상승한 날은 붉은색으로, 떨어진 날은 흑색 또는 청색으로 그립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식 도표를 사용합니다.

    봉 그리는 방법

    아래 A와 같이 주가가 아침 동시호가 때의 시가보다 상승하여 종가가 더 높게 끝나는 경우를 양봉이라 하고 붉은색으로 나타냅니다. 반면에 B처럼 주가가 시가보다 하락하여 종가가 더 낮게 끝나는 경우는 음봉이라 하고 청색(또는 흑색)으로 나타냅니다.

    양봉과 음봉은 시가 대비 종가가 올랐느냐 떨어졌느냐에 따라 구분합니다. 따라서 전일과 비교한 등락과는 관계가 없음을 알아두세요.

     

    양봉인 A는 시가가 10,000원에 시작해 장중에 11,200원까지 상승하기도 하고 9,500원까지 하락하기도 했지만 마지막에 종가가 11,000원으로 올라 끝이 난 경우이고, 음봉인 B는 시가가 11,000원에 시작해 장중에 오르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했지만 종가는 시가에 비해 떨어진 10,000원으로 끝이 난 경우입니다.


     


    2020/08/02 - [분류 전체보기] - [주식52]대표적인 기술적 분석방법은 차트!

     

    [주식52]대표적인 기술적 분석방법은 차트!

    [주식52]대표적인 기술적 분석방법은 차트! 가격, 거래량을 바탕으로 금융 시장을 분석하고 예측하려는 시도. 기술적 분석이란 주가나 거래량 등 주식시장에 나타난 과거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

    balong1004.tistory.com

    2020/08/01 - [분류 전체보기] - [주식51] 매수세가 강하면 강세시장, 매도세가 강하면 약세시장

     

    [주식51] 매수세가 강하면 강세시장, 매도세가 강하면 약세시장

    [주식51] 매수세가 강하면 강세시장, 매도세가 강하면 약세시장 주가는 기본적으로 기업가치에 의해 결정되지만 보다 직접적으로는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주가�

    balong1004.tistory.com

    2020/08/01 - [분류 전체보기] - [주식50] 분산 포트폴리오의 3가지 유형

     

    [주식50] 분산 포트폴리오의 3가지 유형

    [주식50] 분산 포트폴리오의 3가지 유형 다음의 포트폴리오 구성 사례를 참고하여 나만의 포트폴리오 구성 원칙을 만들기 바랍니다. 1┃안정적 수익추구형 손실위험을 줄이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balong1004.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