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38] 주가순자산비율(PBR)로 저평가주 고르기


    주가순자산비율(PBR: Price Book-value Ratio)은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 때 몇 배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업의 청산가치(장부상의 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쓰입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 ÷ 1주당 자산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장부가격에 의한 주주 소유분)으로 나눈 것으로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표시하며 PER과 같이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낸다.

     

    주가수익비율(PER)이 기업의 수익성만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라면, 주가순자산비율(PBR)은 기업의 재무내용과 비교해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주가순자산비율은 재무내용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 수준에 있는지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PBR이 높다는 것은 재무내용에 비해 주가가 높다는 것이고, PBR이 낮다는 것은 재무상태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입니다.

     

    주식시장에서의 주가는 그 회사의 종합적인 평가이므로 주주 소유분을 초과한 부분은 모두 그 회사의 잠재적인 프리미엄이 되기 때문에 경영의 종합력이 뛰어나면 뛰어날수록 배율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PBR은 흔히 청산가치로 표현하는데, PBR이 1이면 주가와 기업의 청산가치가 같다는 뜻이고 1 이하이면 주가가 청산가치에도 못 미칠 만큼 낮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PB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지표는 PER과 함께 사용되는데, 이는 주가순자산배율이 그 회사를 저량(stock)면에서 보고 있는데 반하여 주가수익률은 유량(flow)면에서 보고 있으므로 두 가지 지표가 서로 보완관계에 있다.

     

    순자산이란?

    재무제표상의 장부가치로

    =자산총액-부채총액

    =자본총계

    =청산가치와 같은 뜻입니다.

     

    부채비율은 낮을수록 좋다?

    부채비율(총부채 ÷ 자기자본 × 100)이 낮을수록 재무구조가 건전하므로, 부채비율이 낮아야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채가 적다고 무조건 좋아할 일은 아닙니다. 이자보다 더 많은 이익을 낼 수 있다면 타인자본을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제시하는 적정 부채비율은 200% 이하입니다.

     

    PBR은 또 자기자본이익률과 주가수익비율을 곱하는 방식으로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주가수익비율(PER)은 일정 시점의 이익에 대한 주가의 비율을 구한 것이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기업의 수익성을 측정한 것이므로 이 두 가지 내용을 합한 것이 주가순자산비율(PBR)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PBR은 기업의 자산가치에 대한 평가뿐 아니라 수익가치에 대한 평가까지 포함한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순자산가치는 청산가치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할 때보다 하락할 때, 즉 최악의 경우 어느 선까지 하락해야 바닥인지를 가늠해 볼 때 유용도가 더욱 높습니다.

     

    PBR 밴드 보는 법

    PBR(주가순자산비율)은 현재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PBR 수치가 높다는 것은 주가가 순자산가치에 비해 높다는 것이고, 수치가 낮다는 것은 순자산가치에 비해 주가가 낮게 평가되고 있다는 뜻이죠. PBR 밴드는 PBR 수치가 가장 높았을 때(차트에서 녹색 그래프)와 가장 낮았을 때(황색 그래프)를 그린 것이고 가운데 청색과 보라색은 투자자가 보기 쉽게 중간에 밴드를 그려 놓은 것입니다. 밴드가 현재보다 높아진다는 것은 기업의 순자산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뜻이며, 하향추세면 향후 자산가치가 주가에 비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뜻입니다.



    2020/07/30 - [분류 전체보기] - [주식37] 이브이에비타(EV/EBITDA)

     

    [주식37] 이브이에비타(EV/EBITDA)

    [주식37] 이브이에비타(EV/EBITDA) 이자비용(Interest), 세금(Tax), 감가상각 비용(Depreciation & Amortization) 등을 빼기 전 순이익을 의미한다. 2002년 3월 결산 기준으로 고려시멘트는 주당순이익(EPS)이..

    balong1004.tistory.com

    2020/07/29 - [분류 전체보기] - [주식36] PER 보는 요령

     

    [주식36] PER 보는 요령

    [주식36] PER 보는 요령 국내에서는 보통 PER로 표시하지만 서구권에서는 P/E로 주로 표시한다. 영문명은 Price-to-Earnings Ratio, Price Earning Ratio. 약칭은 PER. 주가 ÷ 주당순이익이다. 1. PER이 높다,..

    balong1004.tistory.com

    2020/07/29 - [분류 전체보기] - [주식35] EPS 보는 요령

     

    [주식35] EPS 보는 요령

    [주식35] EPS 보는 요령 당기순이익 규모가 늘면 높아지고, 전환사채의 주식 전환이나 증자, 분할로 인하여 주식 수가 많아지면 낮아지게 된다. 분할이나 증자를 하지 않았는데 주당순이익이 시��

    balong1004.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